1969년 태풍은 19개의 태풍이 발생한 해로, 태풍 필리스를 시작으로 열대 폭풍 마리로 끝났다. 이 해에는 태풍 테스, 비올라, 엘시, 아이다 등 강력한 태풍이 발생하여 필리핀, 타이완, 일본 등지에 큰 피해를 입혔다. 태풍 이름은 국제적으로는 영어 이름을, 필리핀에서는 필리핀어 이름을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태풍에 관한 - 태풍 볼라벤 (2012년) 2012년 태풍 볼라벤은 마리아나 제도에서 발생하여 오키나와를 거쳐 한반도를 관통하면서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강력한 열대 저기압으로, 라오스의 볼라웬 고원을 의미하는 이름이다.
태풍에 관한 - 태풍 루사 태풍 루사는 2002년 대한민국에 상륙하여 기록적인 강수량과 강풍으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입히고, 이후 태풍 이름이 폐기된 대형 태풍이다.
1969년 태풍
시즌 개요
기상청 관할 구역
북서태평양
활동 기간
1969년 1월 16일 - 1969년 12월 30일
첫 번째 열대 폭풍 발생
1969년 1월 16일
마지막 열대 폭풍 소멸
1969년 12월 30일
총 열대 저기압 수
61
총 열대 폭풍 수
19
총 태풍 수
13
강한 태풍 수 (비공식)
2
가장 강력한 태풍 이름
엘시(Elsie)
최저 기압
895 hPa
최대 풍속
150 노트
사망자
1,177명
1969년 태평양 태풍 시즌 요약 지도
관련 시즌
이전 시즌
1968
다음 시즌
1970
다른 지역
1969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 1969년 태평양 허리케인 시즌 (동태평양) 1969년 북인도양 사이클론 시즌
태풍 필리스(Typhoon Phyllis)는 1969년 1월에 발생한 약한 열대 저기압으로, 1969년 태풍 시즌의 첫 번째 태풍이었다. 미미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이 태풍은 태풍 시즌의 조기 시작과 비성수기에도 열대 저기압이 발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상기시켜 주었다.
2. 2. 열대 폭풍 리타 (Rita)
열대 폭풍 리타(Tropical Storm Rita)는 1969년 서태평양에서 형성된 비교적 약한 열대 저기압이었다. 3월 6일에 발생하여 3월 9일에 소멸하였다.[1] 심각한 피해나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그 해 이 지역의 전반적인 기상 패턴에 영향을 미쳤다.
1969년 3월 8일 03:53(UTC)에 ESSA-7 위성이 촬영한 열대 폭풍 리타
2. 3. 태풍 수잔 (Susan) - 필리핀명 아트링(Atring)
태풍 수잔(Susan, 현지명: 아트링(Atring))은 1969년 4월에 발생한 3등급 태풍으로, 캐롤라인 제도와 필리핀에 영향을 미쳤다. 필리핀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지만, 피해 규모와 사상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한적이다.
발생일
소멸일
1분 최대 풍속
최저 기압
4월 20일
4월 25일
105노트
940hPa
태풍 수잔
2. 4. 열대저기압 비닝 (Bining)
Bining영어은 PAGASA에서만 관측한 단명한 열대저기압이었다. 1969년 5월 3일에 발생하여 1969년 5월 5일에 소멸하였다. 이동 경로나 강도에 대한 정보는 없다.
2. 5. 태풍 테스 (Tess) - 필리핀명 쿠링(Kuring)
태풍 테스(Tess, 필리핀명: 쿠링(Kuring))는 1969년 필리핀에 상륙한 강력한 태풍이었다. 이 태풍은 폭우, 강풍, 폭풍 해일을 동반하여 광범위한 파괴와 인명 피해를 초래했으며, 특히 루손섬 북부 및 중부 지역에서 피해가 컸다.[1] 태풍 테스는 사회 기반 시설, 농업, 주택 등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으며, 교통 및 통신 시스템에도 막대한 지장을 주었다.[1]
2. 6. 태풍 비올라 (Viola) - 필리핀명 엘랑(Elang)
1969년 7월 22일 필리핀 동쪽에서 초대형 태풍 비올라(Viola)가 발생했다. 7월 26일 루손 북부를 스쳐 지나가면서 최대 풍속 150mph를 기록했다. 비올라는 북서쪽으로 계속 이동했으며, 유입되는 수증기 부족으로 약화되었다. 7월 28일 최소 강도의 태풍으로 중국 남동부에 상륙했고 다음 날 소멸되었다. 이 태풍은 상륙 지점인 중국 광둥성 산터우와 그 주변 지역에서 1,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2. 7. 열대저기압 달링 (Daling)
열대저기압 달링(Tropical Depression Daling)은 1969년 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 형성된 약한 열대저기압이었다. 이 열대저기압은 필리핀 대기 지구 물리학 천문 서비스 관리청(PAGASA)에 의해 감시되었다. 달링은 심각한 피해나 인명 피해를 일으키지는 않았지만, 이 지역의 연례 태풍 시즌의 일부였으며, 이는 필리핀과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에 심각한 기상 조건을 가져올 수 있다.
2. 8. 강한 열대 폭풍 위니 (Winnie) - 필리핀명 고링(Goring)
강한 열대 폭풍 위니(고링)는 1969년 필리핀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열대 저기압이었다. 이 폭풍은 필리핀 북부에 많은 강우량과 강한 바람을 몰고 와 광범위한 피해와 혼란을 야기했다. 폭풍이 발생한 지 오래되어 피해 규모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한적일 수 있지만, 이 폭풍은 해당 지역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기상 현상으로 기억되고 있다.
2. 9. 강한 열대 폭풍 앨리스 (Alice)
강한 열대 폭풍 앨리스는 1969년 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이다. 앨리스는 일본 일부 지역에 강풍과 폭우를 몰고 와 피해를 입혔다.[2] 앨리스의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은 당시 상황으로 인해 제한적일 수 있지만, 이 지역 역사에서 중요한 기상 현상으로 인정받고 있다. 1969년 8월 4일, 태풍 7호는 중심 기압 985hPa의 상태로 긴키 지방와카야마현 부근에 상륙했다.[2]
2. 10. 태풍 베티 (Betty) - 필리핀명 훌링(Huling)
1969년 8월 7일의 태풍 베티
태풍 베티(Typhoon Betty)는 훌링(Huling)으로도 알려졌으며, 1969년 필리핀에 영향을 미친 강력한 태풍이었다. 이 태풍은 필리핀에 폭우와 강풍을 몰고 와 막대한 피해와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다. 특히 특정 지역에서 폭풍의 영향이 심각하여 광범위한 기반 시설 파괴와 지역 사회의 이주를 초래했다. 베티는 최근 역사에서 필리핀을 강타한 가장 파괴적인 태풍 중 하나로 기억되고 있다.
발생일
소멸일
1분 최대 풍속
최저 기압
8월 5일
8월 9일
70 kn
960 hPa
2. 11. 태풍 코라 (Cora) - 필리핀명 이비앙(Ibiang)
태풍 코라(Cora)는 이비앙(Ibiang)이라고도 불리며, 1969년에 일본과 캐롤라인 제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중간 강도의 태풍이었다. 8월에 발생하여 류큐 열도에 상륙하기 전에 카테고리 2 태풍으로 발달했다. 이 태풍은 해당 지역에 폭우와 강풍을 몰고 와서 기반 시설에 피해를 입히고 많은 사람들을 이재민으로 만들었다. 구체적인 피해는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코라는 이 지역의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기상 현상으로 기억되고 있다.[3]
태풍 도리스(Typhoon Doris)는 1969년 태평양 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이었다. 이 태풍은 특정 국가에 강풍과 폭우를 몰고 왔다. 태풍 발생 시기가 오래되어 피해 규모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한적일 수 있지만, 이 지역의 역사에서 중요한 기상 현상으로 기록된다.[1]
1969년 9월 2일 태풍 도리스
2. 13. 열대저기압 12W
1969년 9월 남중국해에서 약한 열대저기압 12W가 형성되었다. 12W는 일생 동안 조직력이 약한 상태로 유지되었으며, 최대 풍속은 30노트였다. 이 열대저기압은 베트남에 상륙했으나, 약한 강도와 짧은 수명으로 인해 영향은 미미했다.
2. 14. 열대저기압 루밍 (Luming)
열대저기압 루밍은 1969년 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 형성된 약한 열대 저기압이었다. 필리핀 대기 지구물리 천문 서비스 관리청(PAGASA)이 감시했다. 루밍은 심각한 피해나 인명 피해를 일으키지는 않았지만, 필리핀과 기타 동남아시아 국가에 심각한 기상 조건을 가져올 수 있는 이 지역의 연례 태풍 시즌의 일부였다.
2. 15. 열대저기압 11W
열대 저기압 11W는 1969년 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 형성된 약한 열대 저기압이었다. 이 저기압은 어떠한 육지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형성된 후 빠르게 소멸되었다.
2. 16. 열대저기압 13W (Miling) - 필리핀명 밀링
열대저기압 13W (밀링)는 1969년 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약한 열대저기압이었다. 필리핀 대기 지구 물리학 천문 서비스 관리국(PAGASA)에서 관측했다.[1] 이 열대저기압은 필리핀과 기타 동남아시아 국가에 심각한 기상 조건을 가져올 수 있는 연례 태풍 시즌의 일부였지만, 심각한 피해나 인명 피해는 없었다.[1]
2. 17. 태풍 엘시 (Elsie) - 필리핀명 나르싱(Narsing)
9월 19일, 열대 저기압 14W가 서태평양에서 발생했다. 이 열대 저기압은 거의 서쪽으로 이동하여 20일에는 열대 폭풍으로, 21일에는 태풍으로 발달했다. 엘시는 계속 강해져 24일에는 최대 풍속 175mph를 기록했다. 최고조에 달한 후, 이 태풍은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꾸준히 약화되었다. 26일, 풍속 105mph의 태풍 엘시는 타이완 북부에 상륙했고, 그 다음 날에는 중국 동부에 상륙했다. 북쪽으로 이동한 후, 엘시는 9월 28일 중국에서 소멸되었다. 이 태풍으로 인해 102명이 사망하고 24명이 실종되었으며 227명이 부상을 입었다.
2. 18. 태풍 플로시 (Flossie) - 필리핀명 오펭(Openg)
태풍 플로시
엘시가 타이완을 강타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열대 폭풍 플로시가 타이완에 접근했다. 10월 1일부터 5일까지, 이 섬의 앞바다에서 북쪽으로 표류했다. 동북쪽으로 속도를 내면서, 일본 동쪽 해상에서 10일에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플로시의 폭우로 75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1]
2. 19. 태풍 그레이스 (Grace)
태풍 그레이스(Typhoon Grace)는 1969년 태평양 태풍 시즌에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2등급 태풍이었다. 그레이스는 공해상에 머물렀으며 상륙하지 않아 어떤 육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1] 강도는 상당했지만, 진로가 외딴 곳에 위치했기 때문에 인간 거주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1]
1969년 10월 5일의 태풍 그레이스
2. 20. 열대저기압 17W
열대저기압 17W는 1969년 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약한 열대저기압이었다. 어떤 육지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형성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소멸되었다.
2. 21. 태풍 헬렌 (Helen)
태풍 헬렌
태풍 헬렌은 1969년 태평양 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강력한 열대 저기압이었다. 헬렌은 급격히 세력을 키워 강력한 2등급 태풍으로 발달하여 이 지역에 강풍과 폭우를 몰고 왔다. 헬렌의 피해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오래된 태풍이기 때문에 제한적일 수 있지만, 이 지역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기상 현상으로 기록되어 있다.[1]
2. 22. 태풍 아이다 (Ida)
태풍 아이다
태풍 아이다(Typhoon Ida)는 1969년 태평양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강력한 4등급 태풍이었다. 이 태풍은 피해 지역에 파괴적인 강풍과 폭우를 몰고 와 심각한 피해와 인명 손실을 초래했다. 정확한 피해 상황은 구체적인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이 해의 가장 강력했던 태풍 중 하나로 기억된다.
2. 23. 태풍 준 (June) - 필리핀명 피닝(Pining)
태풍 준
'''태풍 준'''(Typhoon June)은 필리핀명으로 피닝(Pining)이라고도 불리며, 1969년 태평양 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이다. 10월 26일에 발생하여 11월 5일에 소멸하였다. 최저 기압은 940 hPa이었다. 태풍 준은 영향을 받은 지역에 강한 바람과 폭우를 몰고 와 피해를 야기했다. 태풍의 정확한 경로와 강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태풍이 발생한 지 오래되어 제한적일 수 있지만, 이 지역의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기상 현상으로 기억되고 있다.
2. 24. 태풍 캐시 (Kathy) - 필리핀명 루빙(Rubing)
'''태풍 캐시'''(Kathy)는 필리핀명 '''루빙'''(Rubing)이라고도 불리며, 1969년 태평양 태풍 시즌에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대규모 열대 저기압이었다. 캐시는 영향을 받은 지역에 강풍과 폭우를 동반하여 막대한 피해와 인명 손실을 야기했다. 당시의 기상 관측 자료의 한계로 인해 태풍의 정확한 경로와 강도에 대한 세부 정보는 제한적일 수 있지만, 이 태풍은 해당 지역의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기상 현상으로 기억되고 있다.
태풍 캐시
발생일
소멸일
1분 최대 풍속
최저 기압
11월 2일
11월 9일
110mph
925 hPa
2. 25. 강한 열대 폭풍 로나 (Lorna) - 필리핀명 살링(Saling)
강력한 열대 폭풍 로나(Lorna)는 살링(Saling)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1969년 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주요 열대 저기압이다. 이 폭풍은 영향을 받은 지역에 강한 바람과 폭우를 몰고 와 막대한 피해와 인명 손실을 야기했다. 폭풍의 정확한 경로와 강도에 대한 세부 정보는 폭풍이 발생한 시기로 인해 제한적일 수 있지만, 이 폭풍은 해당 지역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기상 현상으로 기억된다.
강한 열대 폭풍 로나
2. 26. 열대 폭풍 마리 (Marie)
1969년 12월 20일의 열대폭풍 마리
열대 폭풍 마리는 1969년 태풍 시즌 동안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열대 저기압이다. 마리는 강풍과 폭우를 동반하여, 영향을 받은 지역에 상당한 피해와 인명 피해를 일으켰다. 태풍 발생 시기가 오래되어 정확한 경로와 강도에 대한 세부 정보는 제한적일 수 있지만, 이 지역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기상 현상으로 기억된다. 마리아나 제도에 영향을 미쳤다.
3. 태풍 이름
1969년에는 합동 태풍 경보 센터(JTWC)에서 지정한 국제 이름과 필리핀 기상청(PAGASA)에서 지정한 필리핀식 이름, 두 가지 방식으로 태풍 이름이 붙여졌다. 1969년 첫 번째 태풍은 필리스(Phyllis)였고, 마지막 태풍은 마리(Marie)였다.
3. 1. 국제 이름
합동 태풍 경보 센터(Joint Typhoon Warning Center)에서 서태평양 열대저기압 이름을 명명했다. 1969년 첫 번째 태풍은 필리스(Phyllis)로 명명되었고, 마지막 태풍은 마리(Marie)로 명명되었다.
이름
명칭
이름
명칭
이름
명칭
이름
명칭
애그니스(Agnes)
앨리스(Alice)
7W
아니타(Anita)
에이미(Amy)
보니(Bonnie)
베티(Betty)
8W
빌리(Billie)
베이브(Babe)
카르멘(Carmen)
코라(Cora)
9W
클라라(Clara)
칼라(Carla)
델라(Della)
도리스(Doris)
10W
닷(Dot)
디나(Dinah)
엘레인(Elaine)
엘시(Elsie)
14W
엘렌(Ellen)
엠마(Emma)
페이(Faye)
플로시(Flossie)
15W
프란(Fran)
프레다(Freda)
글로리아(Gloria)
그레이스(Grace)
16W
조지아(Georgia)
길다(Gilda)
헤스터(Hester)
헬렌(Helen)
18W
호프(Hope)
해리엇(Harriet)
이르마(Irma)
이다(Ida)
19W
아이리스(Iris)
아이비(Ivy)
주디(Judy)
준(June)
20W
조안(Joan)
진(Jean)
키트(Kit)
캐시(Kathy)
21W
케이티(Kate)
킴(Kim)
롤라(Lola)
로르나(Lorna)
22W
루이스(Louise)
루시(Lucy)
매미(Mamie)
마리(Marie)
23W
마지(Marge)
메리(Mary)
니나(Nina)
낸시(Nancy)
노라(Nora)
나딘(Nadine)
오라(Ora)
올가(Olga)
오팔(Opal)
올리브(Olive)
필리스(Phyllis)
1W
파멜라(Pamela)
패시(Patsy)
폴리(Polly)
리타(Rita)
2W
루비(Ruby)
루스(Ruth)
로즈(Rose)
수잔(Susan)
3W
샐리(Sally)
사라(Sarah)
셜리(Shirley)
테스(Tess)
4W
테레즈(Therese)
델마(Thelma)
트릭스(Trix)
바이올라(Viola)
5W
바이올렛(Violet)
베라(Vera)
버지니아(Virginia)
위니(Winnie)
6W
윌다(Wilda)
완다(Wanda)
웬디(Wendy)
3. 2. 필리핀식 이름
필리핀 기상청(PAGASA)은 관할 구역 내 열대 저기압에 자체 명명 방식을 사용한다. 필리핀 기상청은 관할 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과 관할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모든 열대 저기압에 이름을 부여한다. 주어진 연도의 이름 목록이 부족할 경우, 보조 목록에서 이름을 가져오는데, 그중 처음 6개는 시즌이 시작되기 전에 매년 발표된다. 이 목록에서 사용되지 않은 이름은 1973년 시즌에 다시 사용된다. 이는 1965년 시즌에 사용된 목록과 동일하다. 필리핀 기상청은 필리핀어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자체 명명 방식을 사용하며, "ng"로 끝나는 필리핀 여성 이름(A, B, K, D 등)을 사용한다.
아트링
비닝
쿠링
달링
엘랑
고링
훌링
이비앙
루밍
밀링
나르싱
오펭
피닝
루빙
살링
타싱
운딩
왈딩
예옝
보조 목록
안딩
비낭
카디앙
디낭
에팡
군당
4. 월별 태풍 발생 수
1969년에는 총 34개의 열대 저기압이 발생했으며, 이 중 23개가 열대 폭풍으로 발달하였다. 13개의 폭풍이 태풍 강도에 도달했고, 그 중 2개는 초대형 태풍 세력에 도달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